터미널에 끌어다 확인한 경로가

"/Users/tree/Downloads/Hello\ Polytech.rtf" 인 경우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해야한다.
"//Users//tree//Downloads//Hello Polytech.rtf"

디렉토리 구분은 // 으로 하고, 공백은 따로 \ 없이 그냥 공백으로만 두면 된다.

또한 상대경로를 사용할 경우, .// 현재 위치는 bin이나 src 폴더 내부가 아닌 bin, src 폴더를 포함하는 해당 자바 프로젝트 폴더의 위치가 현재 위치다.

 

단, 절대경로든 상대경로든 내장 디스크가 아닌 외장디스크로 할 경우 무조건 'Read-only file system'에러가 뜨는 것 같다. 위치는 반드시 내장디스크로 할 것.

오늘은 자바 시간에 프론트엔드 쪽을 배웠다. CSS와 테이블...

요즘은 백엔드만으로는 살아남기 힘들다던데 후우...

 

그리고 블록체인 발표가 있었는데 아... 노트북과 프로젝터가 확장으로 연결된게 아니고 복제로 연결되서 메모가 하나도 안 보였다 ㅠㅠㅠㅠ

순간 너무 당황해서 대본도 기억 안 나고 키워드 적은 것도 볼 수 없어서 완전 즉석 발표가 되어버렸다...

나는 너무 못 했는데 다들 잘했다고 해주는데 흠.... 위로겠지..? ㅠㅠ

'개발자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06.01  (0) 2020.06.02
TIL 20.05.30  (0) 2020.05.31
TIL 20.05.28  (0) 2020.05.29
TIL 20.05.27  (0) 2020.05.27
TIL 20.05.26  (0) 2020.05.26

오늘은 하루종일 자바스크립트를 했다.

GET, POST 방식으로 웹페이지에 간단한 CRUD를 만들었다.

UPDATE, DELETE도 만들어줘야겠다...

팀프로젝트의 연속이다...

복습 너무 많이 밀렸다 ㅠㅠ 끝나자마자 복습 미친듯이 해야겠다.

'개발자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05.30  (0) 2020.05.31
TIL 20.05.29  (0) 2020.05.30
TIL 20.05.27  (0) 2020.05.27
TIL 20.05.26  (0) 2020.05.26
TIL 20.05.25  (0) 2020.05.26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조회와 판다스에서 데이터 merge 하는 것, 그리고 이동평균을 구할 때 값을 DB에서 읽어와서 변수값으로 넣어서 만드는 것, apply 함수 적용 등을 배웠다.

그리고 워드프레스로 홈페이지/블로그 만들기를 했는데... 하... 내 도커는 어디가 꼬인건지 mysql 컨테이너가 자꾸 내려가서 짜증이 엄청 났다... 뭐가 문제일까 권한도 다 줬는데 ㅠㅠ

'개발자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05.29  (0) 2020.05.30
TIL 20.05.28  (0) 2020.05.29
TIL 20.05.26  (0) 2020.05.26
TIL 20.05.25  (0) 2020.05.26
TIL 20.05.24  (0) 2020.05.26

파이참에서 3분 전에 pip install을 잘 썼는데 다른 모듈 설치하려고 다시 한 번 pip install을 했더니 'command not found'가 발생하는 황당한 일을 겪었다...

easy_install pip 를 해주라는데... python 2.7에 설치된다. 그리고 Anaconda-Navigator에서 보면 pip가 이미 설치된 것으로 나온다....

당연하게도 그동안 설치된 모듈을 검색해도 없다고 나온다....... (pip show pandas를 해보았으나 찾지를 못 한다...  ಥಒ್ಲಥ )

결국 sudo pip uninstall pip 로 삭제한 다음 다음 방법으로 해결했다.

 

1. Homebrew에서 python3 설치하기

brew install python3

 

Homebrew가 python3를 설치하며 아나콘다의 꼬인 설정 마저 풀어주는 듯 하다...? (아나콘다에서 아무리 업데이트 해봤으나 해결되지 않았음...) Homebrew가 python3를 설치하며 환경설정을 새로 다 잡아주긴 하지만 'python'을 입력하면 맥 기본 python 2.7이 실행된다. 매번 'python3', 'pip3'라고 입력하기는 귀찮으니 아래를 따라하면 된다.

 

2.  ptyhon3를 python 명령으로 실행하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설정 프로파일을 연다.

sudo vi ~/.bash_profile

 

파일 상단에 다음 4줄을 추가한다.

alias python='python3'
alias pip='python3 -m pip'
export PATH=/usr/local/bin:/usr/local/sbin:$PATH
export PATH

:wq로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설정파일을 다시 등록해준다.

source ~/.bash_profile

 

 

이제
python --version
을 하면 파이썬 3 버전이 기본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pip --version
을 해보면 아나콘다의 파이썬 3 버전대와 다시 잘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ip show pandas를 입력하면 기존에 설치된 모듈들을 제대로 불러온다.

 

문제는... 터미널을 열 때마다

source ~/.bash_profile

를 입력해줘야 한다는거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타임머신으로 어제 날짜로 돌려버릴까......

 

 

아나콘다 재설치 하니까 바로 됩니다!!!!!!!!!!

오늘은 자바 스프링으로 웹에 테이블 형식의 폼을 만들고 그것을 DB에 밀어넣고 조회하는 것을 했다.

처음 스프링 할 때는 뭐가 뭔지 하나도 몰랐는데 지금은 어찌어찌 페이지를 만들긴 했지만... 지난번 배운거 복붙 하고 수정하는 수준이라 코드는 여전히 익숙치 않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크론탭을 실습했는데 크론탭은 알았지만 모든 계정의 크론탭을 한 번에 조회하는 방법은 몰랐는데 알게 된 유익한 시간이었다.

 그리고 스위프트에서는 Master-Detail App을 만들었다. 첫 수업을 제외하고는 팀프로젝트 한다고 복습을 전혀 못 해서... 매번 수업 들을 때마다 새롭다 ㅠㅠ 얼른 블로그 정리해야하는데...

'개발자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05.28  (0) 2020.05.29
TIL 20.05.27  (0) 2020.05.27
TIL 20.05.25  (0) 2020.05.26
TIL 20.05.24  (0) 2020.05.26
TIL 20.05.23  (0) 2020.05.24

/home/kopo 디렉토리 안에 test3.sh란 파일을 만들고 다음을 입력한다.

1
2
3
4
5
6
7
8
#!/bin/sh
 
while true
do
        A=`date`
        echo "<" $1 "> " $A
        sleep 10
done
cs

 

 

crontab -e 를 이용해 크론탭 에디트 모드로 들어간다.

* * * * /home/kopo/test2.sh >/home/kopo/test2.log

와 같이 저장하고 나온다.

 

쉘스크립트를 터미널에서 바로 실행한 경우

kopo@koposvr:~$ ./test2.sh 1
< 1 >  Tue May 26 07:18:19 UTC 2020
< 1 >  Tue May 26 07:18:29 UTC 2020
< 1 >  Tue May 26 07:18:39 UTC 2020
< 1 >  Tue May 26 07:18:49 UTC 2020
< 1 >  Tue May 26 07:18:5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0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1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2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3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49 UTC 2020
< 1 >  Tue May 26 07:19:59 UTC 2020
< 1 >  Tue May 26 07:20:09 UTC 2020
< 1 >  Tue May 26 07:20:19 UTC 2020
< 1 >  Tue May 26 07:20:29 UTC 2020
< 1 >  Tue May 26 07:20:39 UTC 2020
< 1 >  Tue May 26 07:20:49 UTC 2020

터미널에 이렇게 실시간으로 출력이 된다. (sleep 10에 의해 10초마다 실행)

 

크론탭으로 실행한 test2.log의 결과

kopo@koposvr:~$ vi test2.log

< >  Tue May 26 07:54:01 UTC 2020
< >  Tue May 26 07:54:11 UTC 2020
< >  Tue May 26 07:54:21 UTC 2020
< >  Tue May 26 07:54:31 UTC 2020
< >  Tue May 26 07:54:41 UTC 2020
< >  Tue May 26 07:54:51 UTC 2020

 

실습이 끝나면 크론탭 에디트 모드로 들어가 해당 라인의 앞에 #를 붙여 주석처리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