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z : 압축도 많이 되고, 64비트에 멀티코어 지원을 잘 해서 좋은데 문제는... 오류정정이 되지 않아 파일이 크고 많아지면..... 좋지 않다...
파일 개수가 수천 개 정도로 적으면 괜찮은데... 10만 단위 급으로 많을 경우 열심히 압축 했는데 제대로 못 푸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 저장모드인데도 오류 발생해서 몇 시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것을 몇 번 겪고 나니..... 못 쓰겠다......
zip : 사실... 7z 쓰기 시작한 후로 zip 무시했는데... 범용성은 물론, 안정성에서 zip이 최강이다. bzip도 50만건이 넘어가니 저장모드에서조차 가끔 실패하는 경우가 있는데 zip은... 단 한 번도 실패한 적이 없다. 속도도 너무 느리지 않고... 가장 안정적이고 딱히 모난 구석 없는 최고의 압축인 듯 하다.
tar : 무압축의 대명사... 다른 포맷에서 저장 모드로 해도 tar의 속도를 따라오지는 못한다. 압도적인 속도!! 다만... 문제는 파일이 많아지면 오류가 있다;; 파일이 7z과 마찬가지로 파일이 작고 개수가 적을 때만 쓰는게 좋을 것 같다.
bzip2 : gzip은 사실상 bzip2가 나와서 쓸 일이 없고... 그래서 처음부터 bzip2를 쓴건데 생각보다 안정적이다. 문제는 저장모드로 해도 시간이 꽤나 걸린다;; 저장모드로 해도 용량이 상당히 줄어드는걸 보면 기본적으로 완전 저장모드는 없는 듯 하다. 50만개 이상의 파일도 잘 저장된다.
결론은.... 무조건 안정성이 최고로 중요할 때는 zip!!
안정성도 필요하면서 용량도 줄여야 할 때는 bzip2!!
'개발자 > 용어... 그 외의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서비스 IaaS, PaaS, BaaS, FaaS, XaaS, SaaS (0) | 2020.10.24 |
---|---|
Homebrew로 개발환경 및 다양한 앱 설치하기 (0) | 2020.09.30 |
가상 개발환경 Hyper-V, WSL, Wine (0) | 2020.09.12 |
윈도우 ISO 다운로드 (에듀케이션, 프로) (0) | 2020.09.09 |
Atom (아톰) 패키지 인스톨 에러 (1)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