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하게 내가 써봤거나 들어본 것만 적었고 몇 개만 처음 보지만 왠지 중요해 보이는 것만 적었다. 중요한 포트인데 내가 못 들어봐서 없을 수도 있음...
포트 | 구분 | 설명 |
20 | TCP |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 데이터 포트 |
21 | TCP | FTP 제어 포트 |
22 | TCP | Secure Shell (ssh, sftp...) |
23 | TCP | Telnet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
24 | TCP | 개인 메일 시스템 |
25 | TCP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 전송에 사용, 587과 함께 사용 |
53 | TCP/UDP | DNS (Domain Name System) |
67 | UDP | BOOTP (Bootstrap Protocol) Server, DHCP로도 사용 |
68 | UDP | BOOTP (Bootstrap Protocol) Client, DHCP로도 사용 |
69 | UDP | TFTP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 FTP보다 더 단순한 방식,불안정,SFTP와 반대 |
80 | TCP/UDP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페이지 전송 |
109 | TCP | POP2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2) -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
110 | TCP |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
111 | TCP/UDP | RPC (Remote Procedure Call) |
113 | TCP | ident - 예전 서버 인증 시스템, 현재는 IRC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에 사용 |
119 | TCP |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뉴스 그룹 메시지 가져오기에 사용 |
123 | UDP | NTP (Network Time Protocol) - 시간 동기화 |
143 | TCP | IMAP4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
389 | TCP |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SSL과 함께 암호화, 인증서에 사용 |
443 | TCP | HTTPS - SSL (Secure Sockets Layer) 위의 HTTP (암호화 전송) |
445 | TCP | Microsoft-DS AD (Active Directory) -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LDAP 기능 |
445 | UDP | Microsoft-DS SMB (Server Message Block) - 주로 AFP와 비교됨 |
548 | TCP | AFP (Apple Filing Protocol) - 주로 SMB와 비교됨 |
587 | TCP | Submission port of 25 - 스팸이 많아져서 생겨남, 주로 25(서버간), 548(서버-클라이언트간)에 사용 |
631 | TCP | 인터넷 프린팅에 사용 |
636 | TCP | SSL 위의 LDAP (암호화 전송) |
873 | TCP | Rsync (Remote Sync) - rclone (rsync for cloud storage) 등에 사용, 고성능 |
990 | TCP | SSL 위의 FTP (암호화 전송) |
992 | TCP | SSL 위의 Telnet (암호화 전송) |
993 | TCP | SSL 위의 IMAP4 |
995 | TCP | SSL 위의 POP3 |
1080 | TCP/UDP | SOCKS 프록시 |
1194 | TCP/UDP | OpenVPN |
1521 | TCP | Oracle |
1522 | TCP | Oracle |
1900 | TCP/UDP | SSDP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UPnP 장치 검출 서비스 |
3306 | TCP | MySQL |
5353 | TCP | Multicast DNS |
5432 | TCP | PostgreSQL |
TCP/UDP의 포트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 (dynamic p
ko.wikipedia.org
Apple 소프트웨어 제품에서 사용하는 TCP 및 UDP 포트
macOS, macOS Server, Apple Remote Desktop, iCloud 등의 Apple 제품에서 사용하는 TCP 및 UDP 포트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포트들은 대부분 잘 알려진 업계 표준 포트입니다.
support.apple.com
DiskStation Manager - Knowledge Base | Synology Inc.
www.synology.com
'개발자 > 용어... 그 외의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계획서 (0) | 2020.03.27 |
---|---|
포트포워딩 (0) | 2020.03.25 |
절차지향 언어, 객체지향 언어 (0) | 2020.03.25 |
핀테크(FinTech) & 블록체인(BlockChain) (0) | 2020.03.25 |
약어 정리 (0) | 2020.03.25 |